세상 이모저모38 태국과 베트남의 비교 1. 지리적 특성과 기후태국과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대륙부에 위치한 대표적인 국가들로, 언뜻 보기엔 가까운 이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국경을 공유하지 않는다. 두 나라 사이에는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의 지정학적 복잡성을 잘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영토 면적에서 태국은 약 51만㎢로, 33만㎢인 베트남보다 약 1.5 배가량 크다. 면적 기준으로 보면, 베트남에 대한민국 영토를 두 개 더해야 태국과 유사한 수준이 된다. 그러나 남북 길이에 한정하면, 두 나라는 비슷한 축선을 가진다. 베트남은 북위 23도에서 남위 8도까지, 태국은 북위 20도에서 남위 5도까지 뻗어 있으며, 이는 국가의 기후 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기후적으로 볼 때, 베트남은 위도가 더 높아 북부 지역에 온대 기후대.. 2025. 5. 29. 동남아가 오토바이 왕국인 이유 “아이 없이도 살 수 있지만, 오토바이 없이 살 수는 없다.” 이 표현은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다. 이 지역 청년들에게 오토바이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다. 휴대전화와 더불어 필수 생존 도구로 여겨진다.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들에서 전체 가구의 80% 이상이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오토바이를 보유하고 있다는 통계는 이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오토바이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사회적 지위와 부를 과시하는 상징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주요 도시의 교통체계는 이미 오토바이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주차장, 신호 체계, 상점 입구 등 거의 모든 인프라가 오토바이 친화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들 운전자를 겨냥한 상업 활동은 동남아 경제의 중요한 축.. 2025. 5. 27. 일본 주택의 난방 문화 일본은 한국보다 전반적으로 겨울 기온이 높은 국가이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약 7℃ 내외로,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기후 조건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주거 공간은 겨울철에 실내 온도가 극단적으로 낮은 것으로 유명하다. 실외는 비교적 포근하나, 실내는 ‘세계에서 가장 추운 집’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냉랭한 환경이 지속된다.대한민국의 주택 구조는 바닥 난방, 즉 온돌 문화에 기반하고 있어, 한겨울에도 실내에서 반팔과 반바지를 입고 지내는 것이 흔한 일이다. 반면, 일본의 겨울철 가정에서는 두꺼운 외투를 입고 집 안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일반적이다.세계보건기구(WHO)는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를 18℃ 이상으로 권장하지만, 일본 주택 중 이 기준을 충족하는 곳은 전체의 10%.. 2025. 5. 27. 젓가락으로 알아보는 동아시아의 식사 풍경 20세기 후반까지 세계 문명을 분류하는 기준은 대개 종교, 정치, 언어와 같은 거시적 틀에 의존해 왔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Samuel P. Huntington)은 그의 저서 '문명의 충돌'에서 세계를 유대-기독교 문명, 이슬람 문명, 유교 문명으로 구분하며 종교를 중심으로 한 문명 충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부 음식 사학자들은 보다 일상적이고 문화 요소인 식문화를 통해 문명을 분류하려는 새로운 시도를 시작하였다.이들은 인류의 식사 도구 사용 양상을 기준으로 세 가지 문화권을 구분하였다. 첫째는 손으로 음식을 먹는 문화권으로, 이는 전 세계 인구의 약 40%를 차지한다. 둘째는 나이프와 포크 등 금속 도구를 사용하는 문화권으로, 전체 인구의 약 .. 2025. 5. 26. 이전 1 2 3 4 5 ··· 10 다음